산업안전보건법 35

다음은 4대 필수 안전수칙에서 안전작업 절차 지키기에 대한 사업주의 의무에 대한 내용이다. 아닌 것은?

다음은 4대 필수 안전수칙에서 안전작업 절차 지키기에 대한 사업주의 의무에 대한 내용이다. 아닌 것은?1. 비정상적 작업 또는 유해·위험 작업공정에 대한 안전작업 절차 제정해야 한다.2. 간결하고 근로자가 이해하기 쉬운 내용으로 작성되어야 한다.3. 근로자가 쉽고 빠르게 볼 수 있도록 게시되어야 한다.4. 근로자들이 알 수 있도록 공지 및 교육은 미실시해도 된다. 해설근로자들이 알 수 있도록 공지 및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다음은 사다리작업 안전수칙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다음은 사다리작업 안전수칙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1. 기계나 적재물, 나무상자 등을 사다리 대신 사용하지 말 것2. 혼자서 사다리 사용 작업을 할 것3. 직선사다리(외줄사다리)를 사용할 때는 벽으로부터 1m 이상 띄울 것4. 사다리로부터 자기 팔길이 이상 떨어진 곳에 대한 작업을 하지 말 것 해설사다리 작업은 2인 1조

다음은 위험성평가 절차 중 위험성 결정 단계의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다음은 위험성평가 절차 중 위험성 결정 단계의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1. 근로자에게 노출되었을 떄 얼마나 위험한지, 위험성 수준이 허용 가능한 수준인지 결정2. 안전보건 체크리스트에 의한 방법으로 파악3. 위험성 수준의 결정과 허용 가능한지에 대한 판단4. 사전준비 시에 마련해 놓은 위험성 수준 판단 기준이 조금 모호한 것 같을 경우 여러 가지 위험성평가 방법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음 해설 안전보건 체크리스트에 의한 방법으로 파악은 유해·위험요인 파악 단계입니다.

다음 중 위험성평가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다음 중 위험성평가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가능성과 중대성을 행렬, 곱셈, 덧셈 등으로 산출하는 방법으로 시행이 쉬워졌다.2. 빈도·강도를 계량적으로 산출하지 않고도 위험성평가를 할 수 있다.3. 체크리스트법을 활용할 수 있다.4. 위험성 수준 3단계 판단법을 활용할 수 있다.해설 위험성을 추정할 때, 가능성(빈도)과 중대성(강도)을 행렬·곱셈·덧셈 등 계량적으로 산출하도록 하여 시행이 어려웠습니다.

다음은 위험성평가 절차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다음은 위험성평가 절차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사전준비를 해야 합니다.2. 유해·위험요인 파악해야 합니다.3. 위험성 결정을 해야 합니다.4. 위험성평가 기록 및 보존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해설 위험성평가의 절차는 ①사전준비, ②유해·위험요인 파악, ③위험성 결정, ④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⑤위험성평가의 공유, ⑥기록 및 보존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위험성평가 절차 중 사전준비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다음은 위험성평가 절차 중 사전준비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1. 사전준비는 위험성평가를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절차입니다.2. 상시근로자 5인(건설공사의 경우 1억원 미만) 미만 사업장에서는 유해·위험요인 파악을 위한 역량과 자원이 부족할 수 있어 사전준비 절차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3. 위험성평가 실시 담당자에 대한 교육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4. 위험성평가 실시규정을 작성해야 합니다. 해설 위험성평가 실시 담당자에 대한 교육은 반드시 해야 합니다.

다음은 위험성평가의 절차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다음은 위험성평가의 절차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1. 1) 사전준비 2) 유해·위험요인 파악 3) 위험성 결정 4)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5) 위험성평가의 공유 6) 기록 및 보존2. 1) 유해·위험요인 파악 2) 사전준비 3) 위험성 결정 4)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5) 위험성평가의 공유 6) 기록 및 보존3. 1) 유해·위험요인 파악 2) 위험성 결정 3) 사전준비 4)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5) 위험성평가의 공유 6) 기록 및 보존4. 1)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2) 사전준비 3) 위험성 결정 4) 유해·위험요인 파악 5) 위험성평가의 공유 6) 기록 및 보존 해석 위험성평가의 절차는 1) 사전준비 2) 유해·위험요인 파악 3) 위험성 결정 4) 위험성 ..